한국민간위탁경영연구소는 2021년 8월부터 12월까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(이하 NIA)의 발주로 시행된 ‘사회현안해결 지능정보화사업 사회적 가치 중심 성과분석’용역을 수행하였습니다!
사회현안해결 지능정보화 사업은 사회적 약자의 일상생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하여 이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2019년부터 추진된 사업입니다.
한국민간위탁경영연구소에서 수행한 본 연구용역은 그간 추진된 과제의 성과지표 별 달성도 점검과 우수 과제(사례) 발굴 등 사업의 성과 활용 방안 필요 및 설정한 성과지표 재정립과 사회·경제적 성과 등 사회적 가치 중심의 종합적 분석을 통해 대국민 체감도 향상 및 성과 확산 기반 마련을 위해 추진되었습니다.
한국민간위탁경영연구소는 ‘19~’21년 추진된 지능정보화사업 과제 대상으로 일자리 창출, 매출 부가가치, 서비스 수혜자의 삶의 변화 등 사회적·경제적·기술적 성과를 조사, 측정 등 심도높은 사회적 가치중심의 성과분석을 통해 NIA형 사회적 가치 중심 성과분석모델을 도출하고 성과분류체계를 수립하였습니다.
특히 본 연구는 국내외 최초 서비스 체감형 사회성과평가(ESIE: Experiential Social Impact Evaluation)로 지능정보 서비스 이용자인 사회적 약자가 서비스를 통해 체감한 삶의 변화를 측정했다는 데 기존 사회성과 측정연구와 차별성을 지닐뿐만 아니라, 국내외 최초 디지털 서비스의 재무적 사회성과평가(FISE: Financial Social Impact Evaluation)로 지능정보 서비스가 창출하는 다양한 사회성과 가치를 화폐가치로 측정하여 직관적이며 객관적으로 신뢰가능한 사회성과평가로 기존 사회성과 측정연구와의 다르다는 것에 의의를 가집니다.
또한 주로 사회적 가치 평가 및 계량적 측정이 1차원적인 방법으로 사용되는 것과 달리, 본 연구는 국내외 최초 사회성과 다차원적 분석방법론(SIMADA: Social Impact Multi-Dimensional Analysis)을 개발 적용하여 지능정보서비스 이해관계자 유형에 따라 사회성과 영역을 재무성과, 비재무성과, 디지털 표용성과로 정립하고, 사회성과를 분석하였다는 점에 대해 주목할 만 합니다.
본 연구를 총괄한 한국민간위탁경영연구소 배성기 소장은 “지능정보 서비스가 창출한 사회성과를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사회적 약자 삶의 질 기여뿐만 아니라, 사회성과 확산 시나리오 분석 등을 통한 사업 지속성 및 확장성의 판단에 기여하고, 분석결과의 데이터화로 지속가능한 사회성과 관리 및 확산의 고도화 토대를 마련했다는 데 의의를 두고 있다.”며 “향후 여러 공공기관에 사회적 가치 중심 성과분석 방법론이 확산되어 대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디지털 공공서비스가 널리 제공될 수 있도록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.”고 언급하였습니다.
#디지털서비스 #지능정보화사업 #사회현안해결지능정보화사업 #사회적가치 #성과분석
#사회적가치중심성과분석 #성과측정 #성과평가 #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#과학기술정보통신부